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는 조선 시대에 제작된 천문도(별 지도)**로, 한국 천문학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 🔹 한자 의미 天象: 하늘의 별자리 모습 列次: 배열 순서 分野: 하늘을 구역으로 나눈 것 之圖: 그것을 그린 그림 ➡️ 직역하면 "별자리를 구역별로 배열한 천문도"라는 뜻입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 기본 정보 제작 시기➜ 조선 태조 4년 (1395년) 소재➜ 돌에 새긴 석각 천문도 크기➜ 가로 약 1.4m, 세로 약 1.5m 현존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보 제228호) 천상열차분야지도 주요 특징 1. 고려 시대 천문도 바탕 고려 충선왕 때 원나라 천문도를 바탕으로 제작된 별지도를 조선 초기 그대로 계승 2. 별자리 약 1,467개 표시 중국식 삼원삼벽 체계 기반 (천원, 태원, 적원 + 28수 체계) 각 별자리에 이름과 위치 표시 3. 하늘을 동서남북 365.25도로 나눔 1년의 일수와 연동하여 하늘의 움직임을 시각화함 4. 관측 중심은 중국과 다름 조선 한양 기준에서 보이는 별자리로 조정되었을 가능성 있음 한국 고유의 천문학 전통이 반영된 부분도 있음 천상열차분야지도 천문학적 의의 과학적 정확성: 별의 위치, 계절에 따른 위치 변화 등 정밀하게 기록 천문 지식 보급: 하늘의 움직임을 일반인이나 관리들에게 이해시키는 데 도움 국가 통치와 연결: 별자리는 천명(天命)의 상징이자 왕의 정통성 근거였음 → 왕권 강화 수단으로도 활용됨 천상열차분야지도 역사·문화적 가치 현존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석각 천문도 동양 천문학의 발전 단계를 보여주는 핵심 유물 유네스코 등재는 아직 안 되었지만, 세계적 가치 인정받는 자료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현재 별자리와 비교한 정확도 천상열차분야지도(1395년 제작)에 표시된 별자리와 오늘날 우리가 보는 별자리 를 비교하면, 상당히 정확한 수준 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