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검다리 와 사리 조금 Stepping stones

징검다리  Stepstones, Stepping stones

징검다리는 물이나 진흙 밭을 통과 하기위해 설치한 돌이나 또는 목재,흙 무더기로 만들어서 건너 뛰거나 안전하게 통과 할 수 있도록 한 다리의 일종이지요.
보통 자연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것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동물이 안전하게 냇물, 진흙탕 등을 통과 하게 됩니다.
아래 사진은 바다가 가까운 곳의 냇물에 설치한 징검다리인데 ,만조 때 물이 많이 들어 왔을 때와 간조 대 물이 많이 빠졌을 때 찍은 사진입니다. 다리를 설계한 분은 바닷물이 만조가 되면 이렇게 많이 들어 올줄 몰랐나 봅니다.
징검 다리가 사람들을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상실한 모습입니다. 바닷물이 역류해서 위에서 내려오는 민물이 정체 된 것입니다.

징검다리 와 사리 조금 Stepping stones
징검다리 와 사리 조금 Stepping stones

이런 상태는 가끔 보이는데 관계 기관에서는 알고 있는지 모릅니다.
강바닥을 준설 하건 안 하건 상관없이 바닷물의 수위가 높아지는 상태로 보입니다.
지나 가다가 징검다리가 제 구실을 못하는 것을 보고 폰카로 찍었습니다.
아무래도 30Cm이상의 돌 판을 위에 놓아야 되겠네요.
몇 사람이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그냥 지나 갑니다.


옆에서 오래 기다리며 보고 있지 않아서 가장 높은 수위가 되면 얼마나 더 수면 높이가 올라 갈 지 모릅니다.
지난번에 봤을 때는 기가 막히게 수면과 징검다리가 평행선으로 되어서 아주 예술적일 때도 있었는데 , 아마 간만의 파이가 계절에 다라서 다르기 때문일 것입니다.

아래 사진은 보통 대부분 물이 빠지고 징검다리 구실을 잘 하는 사진입니다.
이 사진을 보면 부산도 간만의 차이가 상당합니다. 최고 수위와 최저 수위를 놓고 보면 아마도 1M정도는 될 것 같습니다.


징검다리 와 사리 조금 Stepping stones
징검다리 와 사리 조금 Stepping stones

간만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날때

수면이 가장 높이 올라 갈 때 간만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나며 사리대 또는 大潮라고 합니다.만조와 간조의 차이가 가장 큰 시기는 음력 2∼4일과 17∼19일에 주로 나타납니다. 간만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이유 이 시기에는 태양, 지구, 달이 일직선 상에 놓이면서 중력이 증폭되어 만조와 간조의 차이가 커지게 됩니다.

간만의 차이가 가장 작게 날때

반면, 조금때를 小潮라고 하며 만조와 간조의 차이가 작은 시기입니다. 주로 음력 10일과 25일 즈음에 나타납니다.
간만의 차이가 가장 적게 나는 이유 이 시기에는 달이 지구를 기준으로 직각에 위치하여 중력이 지구에 온전히 전해지지 않고 부분적으로 상쇄되기 때문입니다. 

사리 大潮 물때


만조(밀물) 높이: 최고 수준으로 올라감
간조(썰물) 낮이: 최저 수준으로 내려감
조수간만의 차: 가장 크게 나타남 특징: 태양과 달의 중력이 합쳐져 해수면 변화가 심함  사리는 보름과 그믐 즉 음력 15일과 30일 전후에 나타나는 조수 차이가 큰 현상

조금 小潮 물때

만조(밀물) 높이: 평균보다 약간 낮음
간조(썰물) 낮이: 평균보다 약간 높음
조수간만의 차: 가장 작게 나타남
특징: 태양과 달의 중력이 서로 상쇄되어 해수면 변화가 적음 조금은 음력 8일과 23일에 나타나는 조수 차이가 작은 현상


참고: 사리와 조금은 조석 현상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어이며, 특히 어민들이 물때를 예측하는 데 중요하게 사용된다. 

#징검다리 #간만차이 #사리 #조금 #대조 #소조 #간조 #만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꽃 중의 왕 모란(牡丹)꽃 예찬(礼讚)

노란 봄 꽃 씀바귀 Ixeris,Wild Lettuce

하늘매발톱 꽃 Columbine

헷갈리기 쉬운 말 한글맞춤법 봉오리-봉우리

수양느릅나무 ,楡나무,Pendula Ulmus parvifo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