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틀리기쉬운말인 게시물 표시

헷갈리기 쉬운 말 한글맞춤법 봉오리-봉우리

이미지
헷갈리기 쉬운 말 꽃봉우리-꽃봉오리,산봉오리-산봉우리 글을 쓰다보면 '봉오리'로 써야 할 지 '봉우리'로 써야 할지 헷길맇 때가 있습니다. 두 가지의 비슷한 예시를 들어서 옳은 말로 쓰는 이유를 알아 봅니다.     예시 1: 원문: 장미꽃 봉우리가 탐스럽습니다. 꽃봉우리 ➜ 꽃봉오리 단어의 내용 꽃봉오리의 아름다움을 감탄하는 표현입니다. 곧 피어날 듯 탐스럽게 맺힌 꽃봉오리의 모습을 긍정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한국어 문법 주어: 꽃봉오리가 서술어: 탐스럽다 조사: -이 (주격 조사), -가 (주격 조사) 옳은 말: 꽃봉오리 가 탐스럽습니다. ' 꽃봉우리 '는 꽃이 피기 전의 봉오리 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탐스럽다'는 보기에 매우 먹음직하거나 아름답다는 뜻의 형용사입니다. '-오리'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것'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꽃봉오리'는 이 규칙에 따라서 '꽃봉우리'가 아닌 '꽃봉오리'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틀린 말 원문: 꽃봉우리가 탐스럽다. '꽃봉우리'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꽃봉오리'가 올바른 표기입니다. 봉오리 ,봉우리

틀리기 쉬운 '이었다' , '이였다' 문법 완전 정리! was

이미지
이었다 , 이였다 문법 완전 정리! 헷갈리기 쉬운 표현, ‘이었다’와 ‘이였다’ . 둘 다 비슷하게 들리지만 엄연히 다른 표현입니다. 아래에  정확하게 구분해 봅니다.정확한 맞춤법으로 쓴 글이 작은 차이 일진 모르지만 큰 신뢰가 시작될 것입니다. was 1. '이었다'의 의미와 문법 ‘이었다’ 는 체언(명사 등)에 붙어, 과거 시제의 서술격 조사 ‘이다’ 가 활용된 형태입니다. 구조: [체언] + 이다 → 이었다 받침 있는 말에 자연스럽게 축약 가능 예시: 그는 선생님이었다 . / 저 장소는 예전엔 병원이었다 . 2. '이였다'는 틀린 표현? ‘이였다’는 원칙적으로 틀린 표현 입니다. ‘이었다’가 올바른 과거형이며, ‘이’ + ‘였다’처럼 나눌 수 없기 때문입니다. 3. 예외는 없을까? 아주 드물게 ‘이’가 고유명사(사람 이름 등) 일 경우 ‘이였다’가 가능합니다. 예시: 그는 ‘이’라는 인물이었다 → 그는 이였다 . 4. 자주 나오는 착각! 주의사항 ❌ 그는 학생이였다. → ✅ 그는 학생이었다. ❌ 여기가 내가 살던 집이였다. → ✅ 여기가 내가 살던 집이었다. ❌ 이곳은 카페이였다. → ✅ 이곳은 카페였다. 이었다 , 이였다 문법 완전 정리

"왠지"와 "웬지"의 차이 완전 정복 Somehow

이미지
"왠지"와 "웬지"의 차이 완전 정복  우리말을 쉽게 생각하고 쓰다 보면 헷갈리는 단어들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자주 혼동되는 표현 중의 하나가 “왠지”와 “웬지”입니다. 둘 다 말할 땐 비슷하게 들리지만 문법적으로는 확실한 차이가 있는 단어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표현의 의미 차이와 올바른 사용법을 간단히 정리해 봅니다. 아래는 “왠지”와 “웬지”의 차이를 설명하고, 단어의 뜻과 문법적 차이, 사용례 등을 정리한 글입니다.   *Somehow* “왠지”의 뜻과 문법적 배경 “왠지”는 “왜인지”의 준말로 의문사 “왜”에 추측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인지”가 붙은 형태다 쉽게 말해 “어째서인지” “무슨 이유에서인지”라는 뜻을 갖고 있으며, 일상 대화에서 매우 자주 사용된다. 왠지와 웬지의 차이

쉽지만 헷갈리는 한글 문법

이미지
  남깁니다 와 남김니다 의 차이와 바른 말은 ? "남깁니다"와"남김니다"는 비슷해 보이지만, "남깁니다"가 맞는 표현이고, "남김니다"는 틀린 말입니다. 쉽지만 헷갈리는 우리말 문법 공부 링크 1. 헷갈리는 우리말 문법 공부 며칠-몇일 2. 헷갈리는 한글 문법 공부,간간이-히  3. 헷갈리는 한글 문법 던-든 4. 헷갈리는 한글 문법 닙니다   5. 헷갈리는 한글 문법 히/이.  6. 쉽지만 헷갈리는 말 십시오 7. 헷갈리는 말 공부 습니다와 읍니다 8. 헷갈리는 외국어 콘텐츠와 컨텐츠   9. 히한하다,히안하다,희한하다 🔹 왜 "남깁니다"가 맞을까요? 기본 동사: 남기다 → ‘무엇을 남기다’에서 ‘기’가 어간이고, 여기에 -ㅂ니다를 붙여서 남깁니다가 됩니다. 남기다 → 남기 + ㅂ니다 → 남깁니다 예문: 이 글을 남깁니다. 음성 메시지를 남깁니다. 🔸 "남김니다"는 왜 틀릴까요? "남김니다"는 어간을 잘못 바꾼 것이고요. ‘남기다’의 어간은 *남기-*인데, 이를 *남김-*으로 착각하고 만든 오류입니다. 국어 문법상 동사 어간에 맞는 활용형을 써야 하므로 남깁니다가 올바른 것입니다. 쉽지만 헷갈리는 한글 문법 ✅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