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양느릅나무 ,楡나무,Pendula Ulmus parvifolia

수양느릅나무,楡나무,Pendula Ulmus parvifolia,처진느릅나무 수 양느릅나무는 한자로 楡(유)나무라고 쓰며 그냥 펜둘라(Pendula)라고도 합니다. 楡는 느릅나무를 의미하는 한자이며 , 펜둘라는 가지가 처진 형태를 나타내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입니다. 수 형이 멋진 이 느릅나무는 특이하게 수양버들처럼 가지가 처지고 늘어지는 것이 상당이 특이합니다. 해운대 수목원에서 꽃이 필 때 찍어 온 사진과 함께 늘어진,쳐진 수양 느릅나무 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느릅나무의 어원은 '힘없이 늘어짐'이고 이 뜻인 '느름'에서 왔다고 합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느릅나무 껍질을 입에 넣고 오랫동안 씹어서 침과 혼합된 상태로 만들어서 종기나 종양 등에 붙여서 치료한 약용 식물입니다. 늘어진 느릅나무는 느릅나무의 변종으로 수 형이나 피질이 다르고 약 성도 다릅니다. 늘어진 형태가 수양버들처럼 보이기 때문에 수양 느릅나무라고 부르며 간혹 쳐진 느릅나무라고도 불립니다. 영어로는 weeping elm 또는 Chinese elm으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학명은 Ulmus parvifolia 'Pendula'이고요. 영어권에서 불리는 "Pendula"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로서 그 뜻이 , "처지는", "드리우는" 등의 의미라고 합니다. 사람이 축 쳐진다 거나 늘어져 힘 없는 것이 아니고 ,주로 나무의 가지나 잎이 아래쪽으로 처지는 형태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과명 : 느릅나무과 학명 :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수양느릅나무정보,원산지,꽃말,약용성분-효능,생육조건, 번식방법,수명, 수양느릅나무 개략 1. 수형이 우산을 펼친 듯이 멋지며 , 울창한 푸른 잎으로 멋진 정원수로 영입되며 조경하는 분들에 의해 좋은 소재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2. 한국의 느릅나무 수피는 약용으로 이용되는데 이뇨제와 염증 치료, 해독제로 좋고, 내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