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열매 남천,南天 Heavenly Bamboo

남천,南天 Heavenly Bamboo


남천(南天)은 사계절 푸른 잎과 겨울철 붉은 열매로 정원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관목입니다. ‘행운을 부른다’는 의미로 많이 식재되며, 동양에서는 오랜 세월 동안 길상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일본에서는 난텐(ナンテン), 영어로는 ‘Heavenly Bamboo’ 또는 ‘Sacred Bamboo’로 불리며, 실제로는 대나무가 아닌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남천,南天 Heavenly Bamboo 기본 정보


학명: Nandina domestica
과명: 멀구슬나무과 (Berberidaceae)
분류: 상록관목

크기: 보통 1~2m, 최대 3m 정도까지 자람
생장속도: 느림


잎 특징: 깃털 모양의 복엽, 계절에 따라 색이 변함
봄/가을- 붉은빛,
여름- 초록,
가을~겨울-자주색 또는 붉은색

꽃: 6~7월경 작은 흰꽃이 모여 피며 장식성 있음

열매: 10~12월경 붉은 구슬처럼 맺히며 겨울철 관상용으로 우수함


남천,南天, Nandina, Sacred bamboo, Heavenly bamboo
남천,南天, Nandina, Sacred bamboo, Heavenly bamboo

남천(南天, Nandina domestica )의 학술적 정보 

학명:Nandina domestica
계-식물계(Plantae)
분류군-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속씨식물군(Angiosperms)-쌍떡잎식물군(Eudicots)
목-미나리아재비목(Ranunculales)
과-매자나무과(Berberidaceae)
속-남천 속(Nandina)
종-남천(N. domestica)

남천,南天 Heavenly Bamboo 원산지와 분포

남천의 원산지는 중국 중남부와 일본이다. 우리나라에도 예로부터 관상수로 도입되어 전국 각지의 정원, 공원, 사찰, 묘지 등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습니다. 특히 남부 지방에서는 노지 월동이 가능하며, 서울 이북 지역에서는 실외 월동이 어려운 경우가 있어 화분 재배가 권장됩니다.


남천,南天 Heavenly Bamboo 주요 용도

정원수 및 조경수
남천은 수형이 단정하고 열매가 아름다워 정원 가장자리, 문 앞, 사찰 입구 등에 자주 심는다.
동양에서는 액운을 막고 복을 부른다는 의미로 활용된다.
최근에는 공원 등의 낮은 울타리로 각광받고있습니다.


분재 및 실내 식물
성장속도가 느리고 가지치기가 쉬워 분재용 식물로도 인기가 높습니다.
화분에 심어 베란다나 실내에서도 키울 수 있습니다.


제례/명절 장식 잎과 열매의 색감이 뛰어나 명절이나 제사 상차림에서 장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남천,南天, Nandina, Sacred bamboo, Heavenly bamboo
빨간 열매 남천,南天 Heavenly Bamboo


남천,南天 Heavenly Bamboo 약용 효능과 민간 활용

남천은 예로부터 민간요법에서 다양한 약효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식물 전체에는 독성이 있어 생식은 금물이며, 전문가의 지도 없이 함부로 약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남천,南天 Heavenly Bamboo 약용

잎과 뿌리: 항염, 해열, 진통 작용이 있다고 전해집니다.
열매: 적당량 사용 시 진해, 거담 작용이 있다고 알려짐.
과다 섭취 시 중독 위험이 있습니다.


한방 기록에 따르면 기침, 감기, 염증 치료 등에 쓰인 사례가 있으나 현대의학에서는 정확한 효능이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남천,南天 Heavenly Bamboo 번식 방법과 관리

번식법: 주로 종자 번식과 삽목을 통해 이뤄짐.
씨앗은 가을에 수확해 다음 해 봄에 파종.
삽목은 여름철에 새가지로 시도 가능함.


햇빛:
반그늘~양지를 모두 견디지만,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잎 색이 더 선명해집니다.

토양: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잘 자람.
과습에 약하므로 주의가 필요함.

관리:
특별한 병충해가 거의 없고, 가지치기 만으로 형태 유지가 쉬워 초보자에게도 적합한 식물입니다.


남천,南天, Nandina, Sacred bamboo, Heavenly bamboo
남천,南天, Nandina, Sacred bamboo, Heavenly bamboo



남천,南天 Heavenly Bamboo관련 이야기

남천(南天)은 동양 문화에서 오랜 세월 동안 행운, 화평, 장수를 상징하는 식물로 여겨져 왔으며, 문학, 민간설화, 풍속 등에 자주 등장합니다. 특히 중국과 일본, 한국의 전통 이야기나 관습에 남천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는 남천이 등장하는 대표적인 이야기와 그 상징을 담은 내용입니다.

1. '난텐'의 뜻에서 비롯된 일본 설화

일본에서는 남천을 *난텐(ナンテン)*이라 부르는데, 이 말은 한자로 **“화(禍)를 전환한다(難転)”**는 뜻과 음이 비슷합니다. 그래서 옛날 일본에서는 남천을 집안에 심으면 액운이나 재난이 피한다고 믿었습니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어느 마을에 병이나 사고가 끊이지 않자, 한 노승이 말했다.

“이 마을의 기운이 어둡구나. 집마다 난텐을 심어 화를 돌려야 하느니라.”

그 이후 마을 사람들은 집 앞과 담장 아래에 남천을 심었고, 정말로 병이 줄고 평화로워졌다고 합니다. 이후부터 일본에서는 남천을 **‘화전식물(禍転植物)’**로 여겨 집 앞이나 절 앞에 심는 풍속이 생겼습니다.


2. 한국의 민간 신앙과 제사 풍습

우리나라에서도 남천은 조상신을 맞이하는 상징적 식물로 활용되었습니다. 특히 제사상이나 묘지 주변, 사찰 입구에 남천을 심는 풍습이 있는데, 이는 남천이 가지고 있는 장식성과 **'악귀를 쫓고 복을 부른다'**는 상징에서 기인한 것입니다.

민간 속설:

어떤 집안이 자손 대대로 불운을 겪고 있었는데, 풍수지리사가 말하길

“귀기가 들락날락하니, 묘 옆에 남천을 심어 잡귀의 길을 막아야 한다.”

그렇게 묘지 주변에 남천을 심자 이상하게 집안이 점차 안정을 찾았고, 이 일화는 지방 곳곳에서 전설처럼 전해졌다고 합니다.


3. 문학과 시에서의 등장

남천은 **한시(漢詩)**나 일본 와카(和歌) 등 전통 문학에서 사계의 아름다움과 덧없음을 상징하는 소재로도 등장합니다.

예시 구절:

붉은 구슬 남천 아래 스러진 잎새 사이로
옛사람 발자국이 가늘게 흩어지네…

이처럼 남천은 기억과 이별, 그리움의 상징으로도 활용되어, 조용한 정원이나 고택의 풍경을 노래할 때 종종 언급되곤 합니다.


4. 불교와의 연관

불교에서는 남천을 법당 앞에 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남천이 잡념과 재난을 멀리하고, 마음을 맑게 해주는 식물이라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겨울철에도 붉은 열매를 품은 모습이 마음의 번뇌를 견디는 수행자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남천,南天, Nandina, Sacred bamboo, Heavenly bamboo
남천,南天, Nandina, Sacred bamboo, Heavenly bamboo

이야기 마무리

남천은 단순한 조경수가 아니라, 문화와 정신, 신앙이 깃든 상징적인 식물입니다. 이야기 속에서 남천은 늘 ‘악을 막고 선을 부른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조용한 정원이나 오래된 절집에서 붉은 열매를 달고 있는 남천을 보면 그 이야기들이 더욱 살아 숨 쉬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남천,南天 Heavenly Bamboo 정리

남천은 사계절 아름다운 잎과 열매, 상서로운 상징성, 쉬운 관리 등 여러 장점으로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전통 식물입니다.
현대 정원에서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으며, 자연스러운 풍경을 연출하고자 할 때 매우 유용한 소재의 식물입니다. 실내외 어디서든 남천 한 그루가 가져다주는 평온한 분위기를 경험한다고 합니다.
근래에는 주로 낮은 울타리에서 많이 보입니다.



#가을부터봄까지빨간열매  #남천 #빨간열매 #南天 #nandina #남천촉 #南天燭 #행운을부르는나무 #액운을맊는나무 #빨간열매울타리 #빨간열매정원수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꽃 중의 왕 모란(牡丹)꽃 예찬(礼讚)

노란 봄 꽃 씀바귀 Ixeris,Wild Lettuce

하늘매발톱 꽃 Columbine

헷갈리기 쉬운 말 한글맞춤법 봉오리-봉우리

수양느릅나무 ,楡나무,Pendula Ulmus parvifo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