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 봄 꽃 씀바귀 Ixeris,Wild Lettuce

들판에 지천인 씀바귀와 노란꽃 이야기 Ixeris,Wild Lettuce

봄철 시골 길가에 나가면 지천으로 핀 노란 꽃들이 보입니다.민들레처럼 잡초 밭이나 길가 아무데서나 피는 노란 꽃인데 민들레 꽃은 겹꽃이지만 씀바귀 꽃은 홑꽃입니다. 
씀바귀 만큼 우리 주변 수풀이나 들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풀꽃은 없을 것입니다.

그야말로 잡초이며 풀꽃입니다. 온갖 잡초와 함께 자라고 그 속에서 예쁜 노란 꽃을 피웁니다.가끔은 소박하고 예쁜 하얀 꽃도 피웁니다.

씀바귀는 이른 봄부터 여름까지 줄기차게 꽃을 피우며 그 강력한 생명력은 어떤 잡초보다 강하고, 맛으로는 쓴맛이 경장히 강한 우리 산하의 잡초 풀꽃입니다.

예로부터 나물로 먹었으며 약용으로 많이 쓰이는 잡초입니다.
들판이나 산 자락 길가 수풀 등 양지 바른 곳에 자라는 이 씀바귀는 노란 꽃이 소박하고 정겨운 느낌까지 줍니다.

씀바귀는 영어이름이 Ixeridium dentatum 또는 toothed ixeridium입니다.
아무데서나 아무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쓴 맛이 대단해서 이름까지 씀바귀라고 부릅니다.가끔은 같은 품종이지만 백색 꽃이 피는 흰씀바귀 즉 Ixeridium dentatum for. albiflora (Makino) H.Hara도 있습니다.

쓴맛이 강해서 크기전 이른 봄 뿌리와 어린씀바귀 순을 나물로 식용합니다.
성숙한 씀바귀는 한방에서 진정제로 사용합니다,
성분으로는 알리파틱과 시나로사이드(cynaroside or luteoloside)이며 이 성분은 항암 및 항알레르기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씀바귀의 이름 유래


씀바귀는 쓴맛이 나는 뿌리를 가진 풀이라는 뜻에서 붙은 이름입니다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쓴맛이 건강에 좋다고 여겨 쓴나물,씬나물로 식탁에 오른 반찬용 식물입니다.
씀바기의 어원은 고전에 씀ᄇᆡ, 슴바구, 씸ᄇᆡ 등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 전부 다 쓴맛이 난다는 뜻의 오래된 우리 말 이름입니다.

또 잎새와 뿌리의 어느곳이든 상처가 나면 쓴맛이 나는 하얀 즙이 나오는데 쓰다는 뜻으로 고채(苦菜)라는 이름이 있습니다.

속명
익세리스(Ixeris)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씀바귀의 다른 이름

•  개씀바귀 : 가짜 씀바귀라는 뜻.
•  참씀바귀 :진짜 슴바귀로 가장 흔한 종류.
•  흰씀바귀 : 흰색 꽃이 핀다.

• 꽃씀바귀 : 설상화가 8~10개이며 노란색 꽃.
설상화란 꽃잎이 합쳐져서 1개의 꽃잎처럼 된다는 뜻임.

• 갯씀바귀 : 잎 모양이 두꺼운 하트 모양.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람.
• 냇씀바귀 : 줄기잎이 1개 내지 3개이며  냇가에서 자라는 종임.
• 벋은씀바귀 : 얖으로 뿌리줄기가 벋고 마디에서 잎이 나는 종임,주로 논둑에서 관찰됨.

• 벌씀바귀 : 곧게 자라는 줄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는 털이 없는 종임. 습한 논둑,벌판에서 관찰되며 벌씀바귀라고 함.
• 불꽃씀바귀 :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종이며 인도가 원산지인 외래 종임. 씀바귀처럼 생겼지만 붉은색꽃과 노란색 꽃 두 종류임.
• 선씀바귀 : 꽃이 조금 늦게 피는 종으로 5~6월에 연한 자주색꼬이 핌. 보통 풀밭에서 관찰됨
• 좀씀바귀 : 달걀 모양의 원형잎이 어긋나고 넓은 타원형임.

• 산씀바귀 : 어긋나게 달린 잎은 달걀 모양 삼각형임. 산슴바귀라고 해도 산이 아닌 숲 가장자리 또는  냇가 근처에서 관찰 됨.

***이름이 씀바귀이지만 실제로 씀바귀 종류가 아니고 식물 분류로 속도 다른 식물입니다.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씀바귀의 나물이름

쓴나물
쓴뿌리풀

학술적 이름은 Lxeridium Dentatum임,

사나귀채(舍那貴菜),
쓴나물(전라도),
싸랑부리(전라도),
쓴냉이(전라도),
싸랭이,
씀바구,
씸배나물,
씀배나물,
쓴귀물,
사라구,
사태월싹,
씬나물,
씬내이,  
도채(荼菜)등 수많은 이름을 가진 식물입니다.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씀바귀의 한자 이름

고채 또는 고채근이라고도 하며 고는 쓸다는 뜻을 가진 한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한약 이름

고채(苦菜),고거(苦苣):쓴맛나는 상추.

생약이름

산고매, 황과채(黃瓜菜), 소고거, 활혈초(活血草).

중국이름

치연고채 (齿缘苦荬).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영어 이름

Ixeris ,
Wild Lettuce

씀바귀의 원산지

씀바귀는 동아시아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일본 등에 자생합니다

씀바귀의 분포 지역

대한민국 전역에 걸쳐 자생하며 들판 산기슭 논두렁 등 햇볕이 잘 드는 장소에서 흔히 봅니다

씀바귀(구)의 식물 정보

국화과에 속하는 곧게 서는 줄기 높이가 30센티미터 안팎되는 잡초입니다.
굵고 하얀색의 부리를 가지고 있으며 잎은 뿌리 부근에서 부터 모여 자랍니다.
개화기는 4월에서 6월 이며 꽃잎은 혀 모양입니다.
씀바귀(구)의 꽃이 진 후 솜털 같은 씨앗이 영글면 민들레 시앗처럼 바람에 흩닐리며 흩어집니다.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씀바귀의 생물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국화군➞ 국화목➞ 국화과➞ 치커리아과➞ 치커리족➞ 씀바귀속➞ 씀바귀

학명➞ Ixeridium dentatum

씀바귀의 꽃말

인내 ,
소박한 아름다움

씀바귀의 약용 성분

알리파틱과 시나로사이드(cynaroside or luteoloside)
이눌린,플라보노이드 등 다양한 항산화 성분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씀바귀의 효능

뿌리와 잎 모두 약용으로 사용함,
해독, 이뇨
위장 기능 개선,
피로 해소,
간 기능 개선,
항암,
항알레르기 , 등

길가에서 담아 온 노란 풀꽃 씀바귀에 대해서 공부하는 자세로 한 포스팅을 마칩니다.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노란봄꽃,씀바귀,야생화,Ixeris,노란풀꽃




#씀바귀 #씀바구,#씬내이 #씬냉이 #쓴나물 #씬나물 #야생화 #노란야생화 #노란봄꽃 #씀바귀꽃말 #씀바귀효능 #하얀씀바귀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꽃 중의 왕 모란(牡丹)꽃 예찬(礼讚)

하늘매발톱 꽃 Columbine

헷갈리기 쉬운 말 한글맞춤법 봉오리-봉우리

수양느릅나무 ,楡나무,Pendula Ulmus parvifo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