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우리말 십시요와 십시오

헷갈리는 우리말 십시요와 십시오의 뜻과 문법적인 차이 설명

예문및 문법 요점 정리


"십시요"와 "십시오"는 한국어 학습자 뿐만 아니라 외국인 이민자들도 자주 헷갈려하는 표현입니다. 이 둘의 문법적인 차이와 쓰임, 의미, 예문, 그리고 요점 정리를 해봅니다.


1. 헷갈리는 우리말 문법 공부 며칠-몇일
2. 헷갈리는 한글 문법 공부,간간이-히 
3. 헷갈리는 한글 문법 던-든
4. 헷갈리는 한글 문법 닙니다 
5. 헷갈리는 한글 문법 히/이. 
6. 쉽지만 헷갈리는 말 십시오
7. 헷갈리는 말 공부 습니다와 읍니다
8. 헷갈리는 외국어 콘텐츠와 컨텐츠 
9. 히한하다,히안하다,희한하다


헷갈리는 우리말 십시요와 십시오
헷갈리는 우리말 십시요와 십시오

1. 십시오와 십시요의 차이


구분 ⇒십시오⇒십시요

형태⇒표준어⇒비표준어 (구어체에서 종종 사용됨)

품사/문법
⇒종결어미 '-십시오' '-십시오'의 잘못된 발음 또는 구어에서의 변형

사용
격식 있는 높임 표현 ⇒구어체에서 잘못 쓰이는 경우 많음

문법적 기준
⇒문법에 맞는 정식 표현⇒문법적으로는 틀린 표현 (표준국어대사전 X)


 2. 문법 설명

**'-십시오'**는 동사/형용사의 어간에 붙는 공손한 명령형 종결어미입니다.

어간 + -으십시오 / -십시오 (자음/모음에 따라 변형)

예: 가다 → 가십시오 / 먹다 → 드십시오

'-십시요'는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는 형태로, '십시오'의 잘못된 음운 변이에서 비롯된 구어적 표현입니다.사람들이 말할 때 [십씨요]처럼 발음되므로 그걸 문자로 적을 때 실수하는 경우입니다.
국립국어원은 이를 잘못된 표기로 보고 있습니다.


3. 예문 비교

올바른 표현⇒ 십시오 〇
잘못된 표현⇒ 십시요 🗙

이쪽으로 오십시오. 〇
이쪽으로 오십시요. 🗙

식사하십시오. 〇
식사하십시요. 🗙

기다리십시오. 〇
기다리십시요. 🗙

조용히 하십시오.〇
조용히 하십시요. 🗙

앉으십시오.〇
앉으십시요. 🗙



📚 4. 참고 문헌 / 문법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십시오' 검색

국립국어원 온라인 상담 사례
→ "십시요는 잘못된 표현인가요?" (답변: 맞음)

<국어 문법론> (허웅), <표준 국어 문법론> (채완),
<한글 맞춤법> 관련 자료


5. 요점 정리

✅ '십시오'

높임을 나타내는 정중한 명령형 종결어미
문법적으로 올바른 표현

공공장소, 방송, 안내문, 뉴스 등에 사용

✅'십시요'

'십시오'의 발음 [십씨요]를 그대로 적은 잘못된 표기
표준어 아님 (사전에도 없음)

구어에서 쓰더라도 문어체나 공식적인 글에서는 사용하지 말 것

헷갈리는 우리말 십시요와 십시오
헷갈리는 우리말 십시요와 십시오


#헷갈리는우리말 #십시요 #십시오 #틀리기쉬운말 #한글문법 #십시오십시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꽃 중의 왕 모란(牡丹)꽃 예찬(礼讚)

노란 봄 꽃 씀바귀 Ixeris,Wild Lettuce

하늘매발톱 꽃 Columbine

헷갈리기 쉬운 말 한글맞춤법 봉오리-봉우리

수양느릅나무 ,楡나무,Pendula Ulmus parvifo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