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들레아, Buddleja davidii, 나비나무,목정화
여름꽃 부들레아 개요,원산지,분포지역,꽃말,용도,생육환경,약용성분 효능,동의보감 언급내용 원문과 해석,식물정보 및 다른이름
여름에 피는 부들레아(붓들레아, Buddleja davidii, 흔히 ‘나비나무’)에 대한 개요부터 전통 의학 기록까지 정리해 봅니다.
🌸 부들레아(Buddleja davidii) 개요
국명: 부들레아, 나비나무
영명: Butterfly bush
분류: 꿀풀목(Lamiales) → 마편초과(Scrophulariaceae) → 부들레아속(Buddleja)
형태: 낙엽 관목, 높이 13m. 가지 끝에서 원추꽃차례로 보라·자주·흰색 꽃이 여름초가을에 핌. 달콤한 향기로 나비와 벌을 유인.
🌍 부들레아 원산지와 분포지역
원산지: 중국 서부(쓰촨, 후베이, 윈난 등), 티베트.
분포지역: 현재는 원예용·조경용으로 전 세계 널리 퍼져 있음. 유럽, 북미,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관상수로 재배. 일부 지역에서는 귀화하여 야생화(침입종)로 번식.
부들레아꽃말
자유, 치유, 다시 만남
보라색 부들레아는 ‘평온’과 ‘영혼의 위로’, 흰색은 ‘순결’, 분홍색은 ‘사랑의 고백’을 의미.
부들레아 주요 용도
환경생태: 꿀벌·나비 서식지 제공 → 곤충 다양성 유지에 도움.
약용: 전통적으로 꽃과 잎이 약재로 쓰였음.
관상가치: ‘버터플라이 부시(Butterfly bush)’라는 이름처럼 나비를 불러 모으는 식물로 인기.
![]() |
부들레아, Buddleja davidii, 나비나무,목정화 |
부들레아 생육 환경
햇빛: 양지에서 잘 자람. 반그늘도 가능하나 개화량이 줄어듦.
내한성/내건성: 영하 -15℃까지 견딜 수 있으며 건조에도 강한 편.
관리: 전정이 필요. 겨울 전정 후 봄에 새 가지가 돋으며 여름에 개화.
부들레아 약용성분 및 효능
주요 성분: 플라보노이드(루테올린, 아피제닌 등), 이리도이드 배당체(버들레인 buddleoside), 트리테르페노이드, 폴리페놀.
항염증 작용
항산화 효과
진통 및 해열 작용
눈 관련 질환 개선 (피로, 충혈 완화)
피부 진정, 항균 작용
👉 중국에서는 부들레아 꽃을 말려 目箐花(목정화, Buddleja flower) 라 하여, 눈의 충혈·결막염·시력저하 치료에 사용.
부들레아 동의보감 언급
동의보감에는 “부들레아”라는 이름은 직접 등장하지 않지만, 한약재로 쓰이는 목정화(目箐花) 가 바로 Buddleja officinalis 의 꽃을 가리킵니다.
원문 (동의보감, 안문(眼門) 편)
「目箐花, 明目退翳, 去風熱」
해석
즉, 눈을 맑게 하고 시력을 돕고, 눈의 염증과 충혈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됨.
![]() |
부들레아, Buddleja davidii, 나비나무,목정화 |
🌿부들레아 식물 정보 요약
꽃색: 보라, 분홍, 흰색 등
개화기: 69월 (여름초가을)
용도: 관상, 벌·나비 유인, 약용(눈·피부 질환 개선)
꽃말: 자유, 치유, 다시 만남
한의학 기록: 목정화(目箐花)로 불리며 눈의 충혈·염증 치료에 사용
목정화(目箐花) 약용 방법,복용방법
부들레아(Buddleja officinalis)의 꽃은 한약재 이름으로 목정화(目箐花) 라 불리며 『동의보감』과 『본초강목』 등에 기록이 있습니다.
🌸 목정화(目箐花) – 약용 개요
전통 한의학에서 전해지는 약용 방법과 복용법 정리입니다.
성미(性味): 약간 차며(微寒), 맛은 달고 쓰다(甘苦).
귀경(歸經): 간(肝)경으로 들어감.
효능: 청간명목(淸肝明目, 간을 맑히고 눈을 밝게 함), 해독·소염.
⚕️ 부들레아(Buddleja officinalis) 목정화(目箐花) 약용 효능
눈 충혈, 눈물이 많이 나는 증상
결막염, 각막염, 눈의 피로
시력 저하, 가려움
항염·해열 작용
인후통, 열성 질환
피부 종기, 염증 완화
항산화·항균 효과
전통적으로 해독·진정 작용으로 사용됨.
![]() |
부들레아, Buddleja davidii, 나비나무,목정화 |
🍵 부들레아(Buddleja officinalis) 복용 방법
동의보감, 본초강목 등 전통 한방서와 현대 중약학 자료를 종합
탕제(煎劑) – 가장 일반적인 방법
목정화 6~12g
물 500ml에 넣고 20~30분 달여 복용
하루 2회 복용 (눈 충혈, 열성 눈 질환에 활용)
단독 사용
단미(單味)로 달여 차처럼 마시기도 함.
눈의 피로, 충혈 완화에 효과적이라고 기록.
부들레아(Buddleja officinalis) 복합 처방 (예시)
📌 목정화 + 상엽(桑葉) + 형개(荊芥) → 풍열로 인한 눈 질환, 결막염
외용(洗眼)
전통적으로 "눈을 맑게 한다(明目)"는 방법.
![]() |
부들레아, Buddleja davidii, 나비나무,목정화 |
⚠️ 주의사항
현대 의학적 검증은 제한적이므로, 실제 복용은 반드시 한의사·전문의 상담 후 권장.
동의보감 원문 속 목정화의 약용 방법 구절
동의보감(東醫寶鑑) 원문 중 목정화(目箐花) 가 언급된 부분을 찾아 정리.
「目箐花 明目退翳 去風熱」
원문 해석
明目(명목): 눈을 밝게 함 (시력 개선, 눈 피로 완화)
退翳(퇴예): 눈에 생긴 막(翳, 백태·혼탁)을 없앰
去風熱(거풍열): 풍열(風熱, 열+염증)을 없앰 → 눈의 충혈, 열성 염증 완화
👉 즉, 목정화는 “눈을 맑게 하고, 백태를 없애며, 풍열을 제거한다” 라는 뜻입니다.
본초강목(本草綱目) 보충 기록
본초강목에서는 목정화에 대해
→ “눈이 붉고 아프며, 눈물이 많고 어두운 증상을 치료한다.”
라고 기록되어 있어 『동의보감』의 기록과 맥락이 같습니다.
![]() |
부들레아, Buddleja davidii, 나비나무,목정화 |
✅부들레아(Buddleja officinalis) 정리
동의보감에서는 목정화를 단순히 효능 위주로 적시하여 복용량이나 달임법(탕제법)은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았고, 후대 처방서나 본초학 문헌(예: 본초강목, 중약대사전에서 6~12g 달여 복용하는 방법이 전해집니다.
부들레아(Buddleja davidii, Buddleja officinalis)는 나라와 지역, 용도에 따라 여러 다른 이름으로 불립니다.
🌸 부들레아의 다른 이름
국내 명칭
붓들레아 (표기 변형)
나비나무 → 나비가 잘 모여들기 때문에 붙은 이름
목정화(目箐花) → 약용 꽃 이름 (한약재명, Buddleja officinalis)
한자명
醉魚草(취어초) : 물고기가 이 잎에 취한다는 전설에서 유래 (중국 민간명).
영어권
Summer lilac : 꽃 모양이 라일락과 비슷하고 여름에 피어서 붙은 이름
중국
大葉醉魚草, 小葉醉魚草 : 잎 크기에 따른 구분
기타
Orange-eye (꽃 중심부 색이 오렌지빛이라 붙은 이름)
부들레아(Buddleja officinalis) 이름 정리
약용으로 불릴 때: 목정화(目箐花), 취어초(醉魚草)
댓글
댓글 쓰기
Blog or SNS .